SQLD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SQLD. 3 7. 관계와 조인 관계 개념: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 관계를 맺는다: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에 상속, 상속된 속성을 매핑키(조인키)로 활용 -> 부모, 자식을 연결 관계의 분류 존재 관계: 엔터티 간의 상태를 의미 ex. 부서( in 사원) 행위 관계: 엔터티 간의 어떤 행위가 있는 것을 의미 ex. 고객( in 주문) 조인 데이터 중복을 피하기 위해 테이블을 정규화에 의해 분리, 분리되면서 두 테이블은 서로 관계를 맺음, 다시 두 테이블의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관계가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기 위해선 데이터를 연결해야 함 -> 조인은 이 과정을 의미 select a.계좌번호 b.관리점 from 계좌 as a, 관리점 as b where a.관리점코드 = b.관리점코드 and a.계좌번.. SQLD. 2 4. 관계 개념: 엔터티간의 연관성 관계 정의 시 인스턴스 간의 논리적인 연관성을 파악하며 정의 종류 1. 존재적 관계: 하나의 엔터티의 존재가 다른 엔터티의 존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, 엔터티 간의 연관된 상태 의미 2. 행위적 관계: 엔터티 간의 어떤 행위가 있는 것을 의미 * ERD에서는 존재관계와 행위관계를 구분하지 않음 관계의 구성 1. 관계명 2. 차수(카디널리티) 3. 선택성(옵셔널리티) 관계의 차수 (카디널리티) - 한 엔터티의 레코드(인스턴스)가 다른 엔터티의 레코드(인스턴스)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나타내는 표현 주로 1:1, 1:N, N:M 등으로 표현 1:1 완전 1대1 관계: 하나의 엔터티에 관계되는 엔터티가 반드시 하나로 존재 선택적 1대1 관계: 하나의 엔터티에 관계되는 엔터티가.. SQLD. 1 1. 모델링 *엔터티 = 테이블 // 컬럼 = 속성 // 행 = 인스턴스 *모델링 개념: 현실 세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데이터 요구 사항을 추상적이고 구조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과정 특징 1. 단순화: 현실을 단순화하여 핵심요소에 집중, 불필요한 세부 사항 제거 2. 추상화: 현실 세계를 간략하게 표현 3. 명확화: 정확하게 현상 기술 유의점 1. 중복: 같은 정보 저장 X (저장공간 낭비됨) 2. 비유연성: 잦은 모델 변경 X, 데이터 정의를 프로세스와 분리 3. 비일관성: DB내의 정보가 모순되거나 상반된 내용을 갖는 상태를 의미, 데이터 중복이 없어도 비일관성은 발생할 수 있음 모델링 3가지 요소 1. 대상: 업무가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 (객체) 2. 속성: 대상들이 갖는 속성 (하나의 특징으로 정.. 이전 1 다음